젬크로의 hiFcRn (humanized Knock-in FcRn) 모델은 CRISPR/Cas9 기술로 B6 마우스의 FcRn 유전자를인간 FcRn 유전자로 치환한 항체 평가 플랫폼입니다.
항체기반 치료제(특히, Anitibody-Drug Conjugate(ADC), Bispecific-Ab, Fc-Fusion protein)의in vivo반감기 및 재흡수를 보다 사람에 가까운 생리적 환경에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합니다(Scientific Reports in revision, 2025).
왜 FcRn이 중요한가?
FcRn (Fc receptor neonatal)은 항체와 결합을 통해서, 항체가 리소좀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막아 항체의 혈중 반감기를 결정하는 핵심 단백질 입니다.
마우스의 FcRn은 사람과 구조가 달라서, 항체의약품과 FcRn 사이의 결합력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람의 항체에 대한 약동학적 결과가 사람과 다릅니다.
젬크로의 hiFcRn 마우스 모델은 마우스 endogenous 프로모터에 의해서 사람의 FcRn 단백질을 발현시켜 전임상 시험에서 신뢰성을 향상시킵니다.
hiFcRn 마우스는 무엇이 다른가?
hiFcRn 마우스 모델은 기존 TG 모델의 random insertion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Knock-in 모델로서, 내인성 수준의 인간 FcRn을 발현하도록 설계되어, 과도한 FcRn 발현이 없으며 생리적 조건에 더 근접한 특징을 가집니다.
트라스트주맙(Trastuzumab)의 약동학(PK) 실험결과, hiFcRn 모델에서 항체의 반감기가 인체와 유사한 양상을 보여, FcRn 매개 항체 recycling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했습니다.
hiFcRn 모델은 인간 FcRn 발현 수준과 항체 의약품 반감기가 생리적 조건에 부합하며, 항체 의약품 평가에 더욱 신뢰도 높은 모델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적용 가능 분야
항체 기반 신약의PK/PD 시험
Fc 변이체 스크리닝 (Fc-engineering)
ADC, BsAb등의 in vivo 반감기 비교
FcRn 관련 경쟁 결합 시험
이런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기존 마우스 모델에서항체 반감기 예측이 어려웠던 경험이 있는 연구자
인간 IgG1, IgG4 항체의FcRn 의존적 특성 평가가 필요한 연구자
FcRn 경쟁 binding, saturation, half-life 등 다양한 PK 매개 기전 연구자